본문 바로가기
말(馬)/말 잡지식

말의 교배: 인브리딩, 아웃크로싱, 라인브리딩

by .넷 2023. 6. 21.

 

 

이전의 포스트에서 말의 혈통표에 대해서 다루어 보았는데요. 이제 말의 혈통을 보다 보면 가끔씩 혈통표에 같은 말의 이름이 나오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건 근친교배(Outbreeding)라 위험한게 아닌가?라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하실 수 있습니다. 실제로 경마에서는 우수한 유전자 형질을 유지하기 위해 근친교배가 많이 일어난다고 하네요. 그래서 오늘은 말의 근친교배에 대한 정의와 다른 교배의 종류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볼까 합니다.

 

먼저 교배의 종류에는 대표적으로 인브리딩(Inbreeding), 아웃크로싱(Outcrossing) 라인브리딩(LineBreeding)이 있습니다. 이 교배종류는 한 말의 혈통에서 동일한 선조가 얼마나 가까이 있는가를 나타냅니다. 한국어로는 각각 근친교배, 이계교배, 계통교배라고 번역합니다. 일단 이 포스트에서는 외래어로 표기하겠습니다.

 

그리고 가끔씩 '4S X 3D', '말이름 2 X 4' 이런 단어를 보실 수 있는데요. 이는 공통 조상이 부계와 모계의 몇대에 존재하는 지를 나타냅니다. '4S X 3D'라는 말은 이렇게 해석됩니다. 앞의 숫자는 몇 대인지 나타내며, S는 부계(Sire), 뒤의 D는 모계(Dam)을 나타냅니다. 즉, 4대째 부계와 3대째 모계에 동일한 선조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X의 앞에 있는 것은 부계, 뒤에 있는 것은 모계를 나타내기 때문에 'S'와 'D'를 생략하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2 X 4 는 동일한 말이 부계에 2대와 모계 4대에 있음을 말합니다.

 

▼먼저 들어가기 전에 혈통표에 대해 아직 잘 알지 못하신다면 아래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2023.06.21 - [말(馬)/경마] - 초보자를 위한 경주마 혈통과 혈통표 읽는 방법

 

이제부터 각각의 정의와 예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브리딩(Inbreeding)

혈연관계가 가까운 개체 사이의 교배이며, 공통 조상이 4대 이내에 있는 경우를 뜻합니다.

 

▼ 아래의 인브리딩으로 태어난 말의 혈통표입니다. 

Union Rags의 혈통표
Union Rags의 혈통표 (출처: https://studbook.kra.co.kr/)

Uinion Rags의 혈통표를 보면 파란색으로 표시한 부마쪽 3대째와 모마쪽 4대째에 노던 댄서가 동일하게 있는 것이 보입니다. 이는 4대 이내이므로 인브리딩에 해당됩니다. 또한 빨간색으로 표시한 미스터 프로스펙터가 부마쪽 4대째와 모마쪽 3대째에 있습니다.

 

여기서 표기를 하면 이렇게 되겠네요. '노던댄서 3S X 4D', '미스터 프로텍터 4S X 3D'

 

 

 

라인브리딩(Linebreeding)과 아웃크로싱(OutCrossing)

라인브리딩: 공통 조상이 4대 밖에 있는 경우 

아웃크로싱: 5대 이내에 공통 조상이 없는 경우 

 

▼ 아래는 국내의 리딩사이어인 한센의 혈통표입니다.

한센의 혈통표 (출처: https://studbook.kra.co.kr/)

위에서 보이는 공통조상은 '레이즈 어 네이티브 5S X 4D', '노던 댄서 5S X 5D', '미스터 프로스펙터 4S X 5S', '세크리테리엇 5S x 5D' 입니다. 여기서 "왜 숫자 4가 보이는데 인브리딩이 아니지?" 라고 헷갈리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모계 부계 두 마리가 전부 4대 내에 존재해야 인브리딩에 해당합니다. 

 

여기서 라인브리딩과 아웃크로싱의 차이가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 라인브리딩은 기본적으로 근친 교배의 이점을 얻으면서도 근친 교배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고안된 방식입니다. 5세대 이상에서 하나 이상의 우수한 조상과의 교배를 여러번 하여 수행되어, 우수한 형질을 얻을 확률을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반대로 아웃크로싱은 더 넓은 유전자 풀을 얻기위해서 사용합니다. 하지만 풀이 넓어지는만큼 열성 유전자도 섞일 확률이 많은 방법입니다. 

 

아웃크로싱과 라인브리딩은 엄밀히 보면 목적이 다르지만, 말과 마주의 사정에 따라 다른 계통의 리딩사이어의 피가 섞이는 일은 있으니 같은 말로도 사용된다고 합니다. 

 

그럼 오늘은 여기서 포스트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